현재, 국내에는 아스트라제네카, 모더나, 화이자 그리고 얀센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접종률은 1차 약 31%, 2차까지는 약 13% 정도가 접종을 완료하였다. 백신 접종에 대한 속도가 증가하면서, 다시 한번 백신 부작용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졌는데, 이에 따른 백신 접종 이후 이상반응 신고(부작용 의심 등)는 코로나 백신 접종자의 약 0.49%이다. 모든 이상반응 신고가 부작용인 것은 아니지만, 어떤 백신이 어떤 부작용을 보이는지 알고 있어야 신고도 가능하므로 정확히 알아둘 필요가 있다. 특히, 인구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40대의 경우, 조만간 대규모 화이자 백신 예방접종을 시작하기 때문에 꼭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화이자 백신 부작용 : Possible side effects
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서 말하고 있는 화이자 백신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주사를 맞은 팔 부위
통증
발적(빨갛게 되는 현상)
부어오름(swelling)
전신
피곤함
두통
근육통
오한
고열
매스꺼움
위와 같은 부작용은 코로나 백신 예방접종 후 하루나 이틀 내로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우리 몸이 백신을 맞은 후 면역체계 형성을 위한 일반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수일 내로 정상으로 돌아오게 된다. 다만, 이슈가 되는 부작용으로는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가 있는데, 이는 화이자 백신을 1차로 예방접종을 하고 아서 보이는 알레르기(Allergic) 반응이 있다.
아나필락시스 : Anaphylaxis
아나필락시스는, 백신 접종 후 생명까지도 위협할 수 있는 매우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다. CDC에 따르면, 화이자 백신 접종 후 아나필락시스 증상은 100만 명당 약 11명 정도가 보였고, 이 중 71%가 접종 후 15분 이내 발생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래서, 백신 접종 시 기존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접종을 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 또한, 아나필락시스 증상을 보였을 시 빠르게 대처하면 피펜 및 항히스타민제 등으로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접종 후 접종장소에서 최소 30분 동안은 대기하는 것이 좋다.
심근염 심낭염 증상
심근염과 심낭염 모두 심장과 관련된 증상이다. 심근염은, 심장으로 정상적으로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는 증상이며, 심낭염은 심장을 둘러싼 심낭의 염증으로 인해 통증이 생기는 증상이다. 이는, 최근 12~17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접종한 미국의 기록에 따르면 100만 명 당 약 13명으로 1차 접종 후 보다, 2차 접종 후의 경우가 더 높다. 우리나라의 화이자 백신 접종 기록에는 아직까지 심근염 및 심낭염 증상으로 보고된 경우가 없다. 다만, 대부분의 접종 대상자들은, 앞으로 해당될 것이기 때문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것도 중요할 것 같다. 다행히, 심근염과 심낭염 증상의 대부분이 회복했고 최소한의 치료만으로도 회복이 가능하며, 코로나19에 감염되는 것보다 위험도가 현저히 낮다고 한다.
백신은, 결국 몸에 항체를 형성하여 실제로 감염되기 전에 면역체계를 형성하기 위해 맞는 것으로 이와 같은 과정 중에 몸의 면역체계가 작동하면서 일반적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떠한 부작용이 발생하든지 즉시 관련 기관에 신고하고 조치를 받는 것이다. 대부분의 부작용은, 백신 접종 후 빠르면 15분 이내 최소 하루 이틀 새 발생하기 때문에 백신 접종 후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세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렇게 운동하면 오히려 늙어요! 몸을 지키는 운동 꿀팁 4가지! (0) | 2024.12.23 |
---|---|
BMW X3 풀체인지 디자인 공개 유출 (0) | 2024.06.09 |
미국 대선, 우리나라와 다른 점 feat. 코커스, 프라이머리 (2) | 2024.02.21 |
코로나 증상 순서 확인하기, 감기 독감과 다른점은 발열순서 (1) | 2022.05.06 |
코로나 확진자 백신과 치료제 알아보기: 화이자,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0) | 2022.04.23 |
댓글